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청년 채용 시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 그런데 비슷해 보이는 제도들이 너무 많아 헷갈리신 적 있으신가요?
    ‘청년내일채움공제’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대표적인 청년 고용 지원 제도이지만, 조건과 혜택이 완전히 다릅니다.
    어느 제도가 더 내게 맞을까? 오늘 이 글에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 vs 청년 일자리 도약 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2년 또는 3년간 근속 시, 최대 1,200만 원까지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이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 청년: 매달 일정 금액 납입
    • ✅ 기업: 근속 기간에 따라 일정 금액 지원
    • ✅ 정부: 최대 900만 원까지 보조

     

    청년이 2년 이상 근속하면 공제금 총액(청년+기업+정부)이 지급되며, 퇴직 시 목돈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에 직접 현금으로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최대 720만 원, 장기근속 시 추가 48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 기업에 최대 720만원 지급
    • ✅ 청년에게는 장기근속 시 최대 480만원 지급
    • ✅ 취업애로청년 우선

     

    청년내일채움공제가 자산형성 중심이라면, 일자리도약장려금은 ‘현금 지원 중심’의 제도입니다.

     



    비교표로 한눈에 보기

     

     

    항목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대상 청년 만 15~34세 미취업 청년 만 15~34세 취업애로청년
    기업 조건 고용보험 가입 중소기업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청년 수혜 2년 후 1,200만원 적립금 수령 18개월 이상 근속 시 480만원 수령
    기업 수혜 기업부담금 납입 후 세액공제 최대 720만원 현금 지원
    기타 청년 자산 형성 목적 청년 고용 유지 목적

     



    나에게 맞는 제도는?

     

     

    각 제도의 핵심 목적이 다르므로, 다음과 같이 선택해 보세요:

     

      • 👤 **청년 기준**
        • - 안정된 장기근속 계획이 있다면 → 청년내일채움공제
        • - 실직 기간이 있거나 취업에 어려움을 겪었다면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 **기업 기준**
      • - 장기 재직 유도와 복리후생 강화 원할 때 → 청년내일채움공제
      • - 채용 비용을 절감하고 싶다면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단, 두 제도는 일부 중복 참여가 불가능하므로 참여 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Q&A

     

    Q. 두 제도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원칙적으로는 중복 지원이 어렵습니다. 특히 동일 청년에 대해 기업이 두 가지 모두 신청하는 것은 제한됩니다.

     

    Q.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워크넷 구직 등록 후 참여기업 채용 → 공제 가입신청 → 기업확인 순으로 진행됩니다.

     

    Q. 일자리도약장려금에서 ‘취업애로청년’은 어떤 조건인가요?
    A. 4개월 이상 실업 상태, 고졸 이하, 국민취업지원제도 이수 등 9가지 중 하나만 해당돼도 가능합니다.

     

    Q. 공제금은 중도 해지되면 어떻게 되나요?
    A. 중도 퇴사 시 청년 납입금만 환급되며 정부 지원금은 소멸됩니다.

     



    두 제도, 올바르게 활용하면 큰 혜택

     

     

    이제 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청년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청년내일채움공제’, 현금으로 직접 도움을 주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자신의 상황에 맞는 제도를 빠르게 파악하고, 정부가 주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